선교적교회연구소 소개

디렉터 인사말

선교적 교회”(missional church)라는 말이 대유행이다. 이것은 현대 교회가 참된 교회로 회복되기 원하는 간절한 바램을 반영한 것이다. 하지만, 크게 우려되는 것은 마치 이런 선교적 교회론이 제자훈련, 알파코스, 두 날개, 가정교회 운동과 같은 새로운 교회 프로그램으로 목회자들 사이에게 인식되고 확산되는 것이다. 그럼 과연 선교적 교회는 새로운 교회 프로그램이 아니면 어떤 것인가? 건강한 교회 운동이나 혹은 교회갱신 운동과 같은 교회개혁 운동과 같은 성격의 새로운 흐름으로 봐야 하는 것인가? 요즘 들어, 한국교회의 개혁, 갱신, 성장에 관한 각종 세미나나 포럼 광고들을 살펴보면 “선교적 교회”를 주제로 삼는 경우가 많다. 물론 선교적교회가 교회개혁을 위한 운동의 성격을 가지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교적교회 논의는 단순한 교회개혁을 부르짖는 그런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선교적교회”란 무엇을 의미하는가? 그것은 하나님이 세상에 보내신 교회로서 “보냄받은 하나님 나라 백성 공동체”가 어떤 교회가 되어야 하는지에 대해 고민하면서, 교회가 걸어온 과거의 역사에 대해 반성하고, 현재의 교회가 교회의 선교적 부르심과 사명을 집중하는 교회를 말한다. 특별히, 홍콩생명길신학교에 부속된 선교적교회연구소는 비서구권, 특별히 아시아, 그 가운데서도 한국, 중국과 홍콩, 그리고 선교지에 있는 교회들이 어떻게 하면 선교적교회의 본질과 사명에 충실한 교회로 거듭날 수 있는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수행하려 한다. 이를 위해 선교적교회연구소는 한국, 중국과 홍콩, 그리고 선교지 교회의 지나온 과거를 살펴보면서, 각 지역의 교회들이 어떻게 지금 현재 선교적인 교회로 거듭나야 하고, 성령충만한 사도행전적인 교회로 나갈지 연구하려 한다.

비전

선교적교회연구소는 한국, 홍콩과 중국, 그리고 아시아를 비롯한 비서구권 교회들, 특별히 선교지에 세워지는 교회들이 어떻게 선교적인 교회로 굳건히 세워져 갈 수 있는지에 대해 신학적인 연구를 수행하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설립되었다. 이를 위해 우선 선교적교회를 이미 심도 깊게 연구하고 있는 영국이나 미국, 그리고 한국의 학교들이나 기관들과 연대할 것이고, 선교적교회 연구를 위한 책들과 저널, 네트워크를 활발히 소개하면서 정보를 공유할 것이다. 또한, 비서구권 지역의 선교적교회에 관한 연구 성과를 소개하는 저널 (Journal of Missional Church in Non-Western World)을 발간할 계획을 가지고, 비서구권 교회들과 선교지 교회들에서 사역하는 신학자들과 목회자들을 네트워크하는 일에 힘쓸 것이다.

디렉터 소개

선교적교회연구소를 이끌고 있는 허성식 교수는 현재 홍콩에서 사역하고 있는 선교학자이며 동시에 홍콩 현지의 작은 영어예배공동체를 섬기는 목회자이기도 하다. 그는 청소년 시절 중국선교사에 대한 소명을 받아, 한국외국어대학에서 중국어를 전공하고, 연세대학교 국제학대학원에서 중국지역학을 전공하였다. 장로회신학대학원에서 입학하던 1998년, 평소 교분이 있었던 미국인 평신도 문서선교사인 웨슬리 웬트워스 (Wesley Wentworth) 형제의 추천으로 레슬리 뉴비긴(Lesslie Newbigin)의 대표적인 저서인 『다원주의 사회에서의 복음』 (The Gospel in a Pluralist Society) (IVP, 1998)를 번역하였다. 이를 계기로 장신대 재학 중, 뉴비긴과 선교적교회 논의에 대해 관심을 가지던 중 미국 유학을 가게 되었고,  미국 프린스턴신학교에서 선교적교회 담론을 이끌었던 대표적인 학자 중 한 분인 Darrell Guder교수에게 석사, 박사 과정 동안 뉴비긴과 선교적교회 관련하여 가르침을 받았으며, Guder 교수 지도 하에 뉴비긴의 선교적 논쟁에 관한 논문을 쓰고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이후부터 뉴비긴 연구와 선교적교회를 연구하는 선교학자의 길을 걷게 되었다.

미국에서 영어목회와 한인교회 담임목사를 10년 가까이 한 후, 한국으로 귀국하여 5년 정도 장신대와 횃불대학원대학교, 주안대학원대학교 등 여러 학교에서 선교학 강의를 하였으며, 그 기간 중에 레슬리 뉴비긴과 선교적교회에 관한 여러 편의 논문과 다양한 글들을 발표하였다. 2019년 홍콩으로 와서, 목회와 신학교육을 병행하던 중, 홍콩생명길신학교의 교수와 선교적교회연구소의 디렉터로 부르심을 받아 현재 사역 중이다. 선교학자로서 가장 관심을 가지고 있는 주제는 “비서구권 지역과 특별히 선교지에서 어떻게 선교적교회를 세워나갈 것인가?” 하는 것이다. 특히, 한국교회, 홍콩교회와 중국교회, 그리고 선교지역의 교회가 어떻게 선교적교회로 세워질 것인가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다.

허성식 교수의 주요 저술, 번역서, 논문은 다음과 같다.

 

저술

  1. Missional Debate: An Interpretive Study of Lesslie Newbigin’s Theological Debateswith Diverse Partners (Princeton: Princeton Theological Seminary, 2014) (PhD.Dissertation)
  2. “기독교와 한국의 세계화,” 『우리 민족과 한국교회』 2019년1운동 100주년 기념 대한예수교장로회 총회 발간, 2018.
  3. 『십자가의 길: 한국교회가 선교적 교회가 되기 위해 가야 할 길』 (남대문교회 알렌선교사 130주년 기념 발간 소책자, 2018)
  4. “Revisiting Newbigin’s Ambivalence toward Interreligious Dialogues: How Can We Re-engage in Interreligious Dialogues in Asia?” in Converting Witness: The Future of Christian Mission in the New Millennium, Fortress Academic, 2019.

번역서

  1. 레슬리 뉴비긴 (Lesslie Newbigin), 『다원주의사회에서의 복음』(The Gospel in a Pluralist Society) (IVP, 1998)
  2. 대럴 구더 (Darrell Guder), 『증인으로의 부르심』 (Called to Witness) (새물결플러스, 2016)
  3. 로드니 스타크 (Rodney Stark), 『기독교 승리의 발자취』 (Triumph of Christianity) (새물결풀러스, 2020)

논문

  1. “Main Features of Missional. Church in the Acts of the Apostles 1-15,” in Current Missional Trends 24: Missional Reading of the Bible and Missional Hermeneutics. Korean Research Institute of Mission, Seoul. 2020.
  2. “On the Wholistic Understanding of the Church in the Korean Context,” in Wholistic Understanding of the Church and the Nation in Dr. Lee Jong Sungs Theology, Seoul: PUTS Publishing House, 2020.
  3. “Ernst Troeltsch’s 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Christian Faith and Its Implication for the Missional Church as Public,” Mission Network 6. 2018.
  4. “The Missiological Implications of Lesslie Newbigin’s Missional Debates,” Korean Presbyterian Journal of Theology, Vol 50. No 2. 2018.
  5. A Review of The Way of the Cross (by Maeng Yi Soon) published in the church magazine of Namdaemoon Presbyterian Church, 2018.
  6. “A Critical Reflection on Megachurch Debate: Is It Impossible for Megachurches to be Missional?” three essays in a series at Web-magazine of Good Church Academy, Nov. 2017.
  7. “The Missional Implications of Newbigin’s Debates with Diverse Groups on the Korean Church,” a paper presented at the 4th Meeting of the Korean Society of Mission Studies, August 22, 2015, held at Presbyterian University and Theological Seminary, in Seoul, Korea.
  8. “The Missional Implications of Lesslie Newbigin’s Shift of Emphasis from Interreligious Dialogues to Religious Pluralism Debates,” in Korean Presbyterian Journal of Theology, Vol 47. No 3. 2015.
  9. “Lesslie Newbigin’s Debate with Post-Christendom: Public versus Privatized,” in Mission and Theology, Vol. 35. Spring, 2015.
  10. Book Review of Gerald R. McDermott, Gods Rivals: why has God allowed different religions? Insights from the Bible and the Early Church, in Koinonia, 2008
  11. “The Great Revival Movement (1903-1907) as Continuous Conversion in the Christianization of the Korean people,” in KIATS Theological Journal, Volume III-1, Spring, 2007.
  12.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Old Testament Ethics in Old Testament Theology”
    published in an abbreviated form, Shinhak Chunchu (Presbyterian College and
    Theological Seminary News Paper), 1999